KB증권-자율주행 10년 변화의 큰 물결 22.04.07 [요약]
거스를 수 없는 많은 자율주행, 2035년까지 연평균 40% 이상 성장 자율주행 전기차 확대, 주행기술 고도화, 사회적 용인 가능한 낮은 사고율 등 3가지 요인을 충족한다.
자율주행 모빌아이 기업가치 60조원, 6월 상장계획 테슬라, 모빌아이 단계적 자율주행 vs 애플, 웨이모, GM 완전 자율주행 테슬라, 자동차 브레인 기술 확보가 강점 카메라 최대 혜택, 탑픽: LG이노텍, 패트릭 카메라 사용은 레벨 3:8~9개, 레벨 4:15~20개[I] 자율주행 개념과 시장 전망]
자율주행 개념 3~5단계를 자율주행 단계로 규정.주행보조기술(ADAS) * 2단계 : 차선유지, 크루즈, 긴급제동 등 3단계 : 스스로 속도조절 및 차선변경. 4단계: 드라이버 개입 없음
자율주행 작동과정 인지단계 :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 외부 인식 하드웨어 판단단계 : 데이터 머신러닝, 딥러닝 등 소프트웨어 제어단계 : 저지연성, 정확성 등이 요구된다.
2. 자율주행차 시장 전망 시장이 성장하는 근거와 자율주행차가 필요한 이유 등에 관한 내용[II. 자율주행 기술개발 접근법]
점진적 vs 혁신적, 접근이 다른 두 기술진영 테슬라, 모빌아이 : 점진적 기술발전 비교적 개발이 용이하고 시장 인지도 선점 및 개발비 재무부담 적은 레벨3 이상 대중화는 27년 이후로 전망하며 30년 후 레벨4 서비스 예상
웨이모, 크루즈: 혁신적인 기술 발전 기술 개발 어려움
2. 혁신적인 기술개발 진영의 핵심은 라이다 라이더는 초당 수백만 개에 빛을 발사하고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ToF 방식을 활용.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데 레이더보다 정확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눈, 폭우, 안개 등에서는 어렵다.
웨이모는 고정밀도 지도 HD맵과 라이다를 활용하다가 현재는 카메라도 장착한 2018년을 정점으로 기업가치가 하락 중이며 원인은 HD맵의 제한적 확장성, 라이다 기술 한계, 높은 비용 등 현재는 피닉스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 중이다.
라이더는 정확도는 높지만 인지가능 범위가 좁다. 속도가 높아질수록 범위는 좁아지고 60㎞ 이상에서는 장비 고장 및 발열 문제가 발생한다. 또 라이더 1대당 비용도 1등급(알파프라임)은 1억2천만원이고 3등급(벨로다인 Punk)은 약 500만원으로 이름.
3. 글로벌 대표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기업 테슬라 4종의 전기차(S,3,X,Y)를 캘리포니아,상하이,텍사스,베를린에서 양산중
웨이모의 자율주행 기술은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와 비슷하다. 모든 경우의 수를 학습 후 특정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테슬라는 인간의 뇌과학과 관련이 깊다. 해당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도록 개발.
테슬라 자율주행 서비스는 오토파일럿, FSD, FSD 베타 등 오토파일럿: 레벨2 서비스 FSD: 레벨2.5 기술로 NOA(목적지까지 자율주행) 등 추가 제공. NOA는 현재 테슬라만 가능.FSD 베타 : 레벨3, 시내 자율주행 서비스 추가 제공 (베타테스터 약 6만명)
테슬라의 기술 3가지 주요 포인트 ①H/W, 칩셋, 소프트웨어 동시 독자개발 핵심기술 독자개발로 제품효율화 극대화 ②자체 인공지능 칩셋 경쟁력차량 FSD 칩셋, 중앙슈퍼컴퓨터 도조칩셋을 사용중이며 대당 8개 카메라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중앙컴퓨터로 딥러닝. 사업 초기에는 모빌아이칩셋 사용, 2016년에는 엔비디아, 19년 독자칩셋 사용, ③압도적인 빅데이터 양이 압도적으로 많다. 글로벌 270만명의 이용자가 데이터 수집
4. 상장을 압박한 모빌아이 21년 실적은 매출액 14억달러, 영업이익 5억달러 수준, 2022년 말 이스라엘과 독일에서 로보택시 상용화 계획, 24년 북미 자율주행 셔틀버스 출시 목표
BMW는 오랜 협력관계를 유지. 2022년 하반기 출시된 7시리즈에 레벨3 수준의 기술 탑재 계획 중.최근에는 포드와 폭스바겐과도 파트너십 체결. [IV. 자율주행차는 IT산업의 거스를 수 없는 대세]
① 라이다는 거리 파악에 용이하지만 높은 가격과 부피가 단점 ② 레이더는 속도 정보까지 제공하는 4D 레이더 개념이 대두 마이크로파 수준의 전자파를 물체에 발사. 이미지 인식 기반으로 4D 레이더 개념 대두 ③ 자율주행차에는 다수/다양한 카메라 필수 탑재


KB증권 이창민 : 패트론 – 차세대 동력은 전장용 카메라 22.04.07 목표가 17,000원(현 주가 10,650원) 스마트폰 부문 호실적 예상 폰드리 공급난에 따른 AP 수급이슈 해소로 삼전가동률 정상화 진행중개 갤럭시S22, A23 등 신모델 매출 본격화 갤럭시워치향 심박센서 모듈화로 ASP 상승 특히 플래그십 모델에서 동사 점유율 상승중(21년 20%에서 2022년 35% 확대추정)
전장용 카메라는 차기 성장 동력(근거는 따로 없네.)
굳이 파트론을 왜 넣었는지…LG이노텍은 좋아 보이지만 결국 주가를 움직이는 건 아이폰 향이 아닐까 싶다.
- 댓글, 공감, 공유, 의견, 반박 등 모두 환영합니다.* 매매를 권장하는 문장이 아님을 분명히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