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가슈] 금리인상, NHTSA 자율주행 허용, 액면분할 예상 기업 목록 (부킹홀딩스 BKNG 오토존 AZO 치폴트레 CMG 테슬라 TSLA 블랙록 BLK)

안녕하세요~ 이로은입니다!

바로 오늘의 뉴스나 화제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금리 인상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3년 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할 전망입니다.

연준은 15~16일로 예정된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문가들은 이번 FOMC에서 현재 0~0.25%인 금리를 0.25%P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7.9%를 기록하며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또 전쟁 이슈 등에 따라 3월에 기준금리를 0.5%P 인상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 0.25%P 인상이 유력하다는 겁니다.

모두가 0.25%P를 예상하고 있는데 만약 0.5%P를 인상하게 된다면 시장은 큰 충격을 받을 것 같습니다.

미국 전기차 주가 급락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여파로 뉴욕 증시가 기술주 중심으로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최근 급부상한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큰 조정을 받았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 협상을 여러 차례 진행하고 있지만 연일 협상이 결렬되면서 휴전에 대한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고 시장에는 불안감만 증폭되고 있는데, 이 같은 불안감이 시장에 반영돼 조정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 전쟁으로 치솟던 유가 상승폭이 줄어든 것도 전기차 관련주의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8일 120달러를 돌파해 130달러까지 오를 것 같았던 유가가 11일에는 106달러대로 약 14% 하락했습니다.

전기차는 유가가 올랐을 때 내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지비가 좋아지기 때문에 유가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 관련 종목 조정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특히 주당 가격이 1,000달러를 넘어서면서 천수라로 불렸던 테슬라 주가와 리비안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NHTSA 핸들이 없는 자율주행차의 운행을 허용하는 이런 악재 속에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스티어링 휠이 없는 자율주행차의 운행을 허용하는 목적의 자율규칙을 최근 개정했다고 합니다.

그동안 미국에서는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모든 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려면 스티어링 휠과 페달이 필수로 장착돼 있어야 했습니다.

자율주행차는 특성상 스티어링 휠 자체가 필요 없다는 여론이 미국에서 강했습니다.

특히 스티어링 휠 자체가 실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NHTSA의 이번 결정은 스티어링 휠 자체가 없는 자율주행차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GM, 테슬라 등이 큰 혜택을 볼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법 개정도 되었으니 곧 스티어링 휠이 없는 차가 도로를 누빌 수 있겠네요.

아마존 목표 4,100달러 인수 의견

11일 CNBC에 따르면 도이체방크가 아마존에 대해 인수의견을 내면서 목표도 전 거래일 종가보다 40%가량 높은 4100달러의 목표가를 제시했습니다.

도이체방크 애널리스트는 아마존이 지난 2년간 빠르게 발자취를 넓혔으며 특히 식료품과 아마존 웹서비스 사업에서 여전히 획기적인 매출 성장을 이룰 준비가 돼 있으며 수익이 기반 인프라의 성장과 보다 밀접하게 일치하는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20대 1 액면분할 계획과 100억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소식을 밝힌 아마존 주가는 5.4% 상승했습니다.아마존이 액면분할 소식에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면서 다음으로 액면분할할 수 있는 주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최근 액면분할이 예상되는 기업을 밝혔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액면분할을 예상하는 기업은 부킹홀딩스(BKNG), 오토존(AZO), 치폴레(CMG), 테슬라(TSLA), 블랙록(BLK), 오레이리오토모티브(ORLY) 등을 꼽았습니다.위 기업은 모두 11일 종가 기준 주당 가격이 500달러를 넘는 기업입니다.

단순히 액면분할 가능성만으로 인수하기보다는 실적과 성장성이 좋은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고 액면분할까지 하게 되면 주가 상승에 큰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로블록스 목표 60달러에 인수의견

도이체방크는 아마존에 이어 로블록스 목표주가도 60달러로 발표하고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했습니다.

도이체방크는 로블록스가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초기 시장의 리더로서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지난 3년간 로블록스는 개발자 커뮤니티를 두 배로 늘렸고, 같은 기간 하루 평균 이용자 수도 거의 5천만 명 이상 늘었다고 합니다.

5천만 명이면 우리나라 인구에 버금가는 규모네요.

도이체방크는 “로블록스가 느린 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플랫폼에 더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를 추가하면서 구조적으로 더 강력하게 팬데믹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캐터필러 2주만에 16% 상승

스테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캐터필러(CAT) 주가가 2주 만에 16%가량 올랐습니다.세계 최대 건설 및 광산용 장비 제조업체로 알려진 캐터필러의 주가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가스, 석탄 등의 수입 제재에 나서면서 캐터필러가 자원 다변화 및 리쇼어링(생산시설의 국내 이전) 수혜주로 떠오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셰일 오일 개발 움직임이 더욱 빨라지고, 이에 따라 굴착기와 중장비 수요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는 것입니다.

관련 주가 움직임을 살펴봐야겠네요.마지막으로 순매수 상위 종목 TOP10입니다.

1.TQQQ(ETF)2.QQQ(ETF)3.마이크로소프트4.SOXS(ETF)5.SCO(ETF)6.BULZ(ETF)7.아마존8.케이던스디자인시스템9.SPY(ETF)10.카니발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