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정상수치(범위) – 고혈압 및 저혈압 수치 및 증상, 합병증

혈액은 혈관을 따라 심장의 펌프 기능(수축 이완 작용)을 중심으로 우리 몸 구석구석으로 산소, 영양소, 노폐물 등을 운반합니다. 혈압은 이 혈관 내 혈액의 압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정상 혈압 수치를 벗어났을 때 우리 몸의 여러 조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압정상치(범위)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 수축기 혈압과 이완 시 이완기 혈압으로 측정하여 기준을 정합니다. 또한 혈압 정상 수치 범위는 고혈압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구간을 의미합니다.

수축기혈압/이완기혈압, 단위:mmHg혈압 정상수치 수축기혈압 <120이며, 이완기혈압 <80범위 주의혈압 수치수축기혈압 120~129이며, 이완기혈압 <90범위 고혈압 전단계 수축기혈압 130~139 또는 이완기혈압 80~89 고혈압 1기 수축기혈압 140~159 또는 이완기혈압 90~99 고혈압 2기 수축기> =160 또는 이완기 단독 고혈압 <90mm 저혈압> 140gH 저혈압 (일반적으로 수축기혈압 (일반적으로 수축기혈압) 수치는 100mm 정확한 수치를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

고혈압증상 및 합병증/위험요인

고혈압은 혈압 정상치를 초과하여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이 140/90mm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생명과 직결되는 심장이나 뇌에 관련된 합병증이 많습니다.

증상: 거의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심각한 수준의 고혈압임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없어 치료를 소홀히 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기증, 피로감, 심장 박동을 불쾌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합병증: 뇌혈관질환(뇌출혈, 뇌경색), 심부전증(심장근육 비대기능 저하). 관상동맥질환(심장에 혈액을 공급함), 심근경색(심장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쇼크성 심장질환), 신장질환(신장기능장애, 단백뇨, 신경화증, 신부전증 등), 부정맥(불규칙한 맥박), 망막증(망막손상) 등

위험요인 : 고령, 유전(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흡연(혈관수축), 필요 이상의 염분섭취, 스트레스, 과도한 음주, 고지혈증, 당뇨 등

저혈압

과다 출혈로 인한 쇼크, 저혈압은 응급이 필요하지만 별다른 증상이 없고 혈압만 낮은 경우는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립성 저혈압 : 갑자기 일어날 때 일어나는 현기증 증상입니다.

식후 저혈압 : 고령자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소화를 위한 혈액 공급 증가 시 심장 박동, 혈관 등의 기능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어지럼증, 두통, 실신, 전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미주신경 실신: 실신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갑자기 발생한 긴장, 스트레스는 혈관을 확장하고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며 저혈압을 발생시킵니다. 그로 인해 뇌로의 혈류를 감소시키고 일시적인 실신을 일으킵니다.

올바른 혈압 측정

혈압은 측정 상태 또는 측정 장비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상 혈압 수치를 벗어난 수치일 경우 시간을 두고 다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측정 30분 전 담배, 흡연 금지 – 소변을 참고 있을 경우 혈압이 높게 측정되는 원인 – 측정하는 팔은 심장 높이 정도 위치 – 뚜껑의 의류는 제거하고 측정 – 양팔의 혈압을 각각 측정하여 높은 쪽을 기록하되 차익 20mmHg 이상일 경우 재측정

혈압은 낮거나 높아도 특별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혈압 정상치를 넘어서 장시간 지속되면 우리 몸의 여러 조직은 조금씩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장시간 고혈압으로 인해 어떤 질환의 증상을 인지하면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불쾌감, 이상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