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항생제란 우리 몸의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의약품을 의미합니다. 작용기전, 화학구조, 유효균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항생제의 부작용도 약물군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만 증상이 사라졌다고 해도 처방된 기간은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면 내성균의 발현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생제 내성 및 항생제 부작용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꼭 필요할 때만 최소 기간 동안 사용하십시오.
페니실린계 항생제의 첫 번째 항생 물질인 페니실린은 곰팡이에서 얻은 물질입니다. 미생물(=곰팡이)이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데서 유래되었으나, 최근에는 다른 메커니즘에 맞는 항생제가 많이 개발되어 항생제 내성 등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베타랙텀구조 페니실린은 화학구조상 베타랙텀환(=3개의 탄소원자와 1개의 질소원자로 이루어진 환형환)을 가지고 있으므로 베타랙텀계 항생제에 속합니다.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속하는 물질은 공통적으로 페니실린의 기본 모핵구조를 가지며, 오그멘틴정의 주성분인 아목시실린도 이에 해당합니다.

항생제는 크게 작용기 전, 항균 범위 등의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작용기전에 의한 분류상으로는, (=어떻게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가에 의해서) 나누어 보면,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차단하는 계열입니다.
세포벽은 사람의 세포에는 없는 세균에 발견되는 독특한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페니실린계 항생제는 세균세포벽을 구성하는 펩타이드글리칸 교차결합을 저해하여 세포벽 합성을 억제합니다. 세균이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기 위해서는 세포벽 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입니다.오그멘틴 정성분 : 크라브란산 + 아목시실린 오그멘틴 정에는 두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항생제 내성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것입니다. 항생제인 아목시실린은 화학 구조상 베타락탐환을 가진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속합니다.

일부 세균은 베타락탐 고리를 분해하여 아목시실린의 항생 작용을 무력화시킵니다. 즉, 항생제 내성이 나타나서 아목시실린에 노출되어도 살 수 있는 것이군요.

이와 같은 저항성(=내성)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함께 들어간 물질이 클라브란산입니다. 크라브란산은 세균의 베타락탐 고리를 분해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참고) 항생제 내성 항생제 약물을 반복 사용하면 세균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는 변이가 발생합니다. 가끔 이전에 받아 두었던 약을 끝까지 복용하지 않고 비슷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약물에 항생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임의로 복용할 경우 항생제 내성의 발현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효능, 효과 광범위한 항균효과를 지녀 각종 감염성 질환에 폭넓게 이용됩니다. 아목시실린과 클럽란산복합제는 제약사에 의해 다양한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오그멘틴 정도 그 중 하나), 치과 치료 후 혹은 편도염, 방광염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기 쉬운 감염성 질환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급만성 기관지염, 대엽성 및 기관지 폐렴, 농흉, 폐농양, 편도염, 부비강염, 중이염-방광염, 요도염, 신우신염-골반감염, 임질-종기 및 농양, 연조직염, 상처감염-골수염-치과감염
- (오그멘틴정) 항생제의 부작용, 항생제의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부작용에 대해 과민반응이 있어요. 설사도 대표적인 페니실린계 항생제의 부작용입니다.

▶ 과민반응은 치명적인 페니시 인계 항생제의 부작용입니다. 발열이나 발진, 그리고 아나필락시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사제로 주입되는 경우 위험성이 증가하여 미리 피부반응시험을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페니실린 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이를 숙지하여 진료할 때마다 의료진에 통보해야 합니다.
▶설사 항생제의 부작용, 설사는 장내 정상 세균총의 균형이 깨짐으로써 발생합니다. 설사가 계속되고 있다면 복용을 중단하고 진찰을 받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