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 흐름 분석에 앞장서서요.저는 투자, 직장, 가족, 교육, 운동, 영어, 여가 등 인생 어느 것 하나 포기하고 싶지 않은 욕심으로 매일 바쁘게 공부하며 살고 있습니다.쉬지 않고 바쁜 상황에서도 꾸준히 투자하고 공부하며 남기는 저의 포스팅이 방문해주시는 이웃들에게 긍정적인 자극제가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요즘 금리 때문에 힘드신 분들이 많이 계시죠?저도 최근에 새로 갱신된 신용대출 금리를 보고 깜짝 놀랐어요.직장인 1학년 때(당시 신용 4~5등급, 기준금리 2.75%)도 4.5%의 신용등급으로 신용대출을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지금은 신용이 1등급에 기준금리가 2.25%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6%에 달하는 금리를 통보받았습니다.최근 2~3%대 저금리에 익숙해서 그런지 충격을 받고 직장대출로 갈아타야 할지, 거래은행을 바꿔야 할지 고민이 꽤 많았던 요즘이었습니다.그래서 선택하기 전에 우선 지금 금리 수준을 좀 살펴봐야 해서 몇 가지 데이터를 꺼내봤습니다. 신용대출 금리의 지난 10년간의 데이터

우선 은행의 수익 구조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은행의 수익 창출은 기본적으로 “예대 마진”입니다.예대 마진은 예금과 대출 금리의 차이를 이용하고 수익을 내는 구조지만, 예를 들면 2%로 돈을 빌리고, 4%로 대출을 받은 이자보다 버는 이자를 더 높이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그럼 은행은 어디서 돈을 빌려서 오나요?많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돈을 찍다 한국 은행에서 돈을 빌립니다.그리고 한국 은행은 돈을 빌려때 기준이 되는 금리를 정하고 대출을 하고 주지만 이것이 바로 기준 금리입니다.한국 시장 금리로 단기와 관련된 금리는 기준 금리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기준 금리는 예금에도 영향을 줍니다.방금 은행의 기본 수익 구조는 예대 마진이라고 하셨죠?그래서 은행은 예금에 지불해야 하는 이자를 고려하고 대출 금리를 설정하게 됩니다.이런 메커니즘에 의해서 기준 금리와 신용 대출 금리 10년치 데이터를 뽑아 봤지만
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역시 기준금리 변동과 같은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은행들은 예대마진으로 통상 얼마의 차익을 남겼을까.
그럼 은행들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금리 차이를 이익으로 잡았는지 궁금한데요.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위 데이터를 보면 시기별로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3.15% 정도의 추가 금리를 더해 이득을 본 것을 알 수 있습니다.사실상 2013년 전후를 제외하고는 2%대 금리 차이로 인해 수익을 올렸는데 이게 최근 4.3%까지 증가한 모습입니다.금리차 급등 시점은 지난해 하반기지만 역시 지난해 하반기 정부의 무리한 대출 규제로 인해 자금 가격이 귀해지면서 발생한 부작용으로 보입니다. 향후 신용대출 금리의 방향성은?위 데이터에서 본 것처럼 최근 금리 차이는 비정상입니다.은행이 물이 들어올 때 젓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아요.KB국민은행 순이자수익증가율(전분기대비) – 전자공시다트실제로 우리나라 5대 은행 중 하나인 국민은행의 2022년 2분기 순이자이익은 최근 분기에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그럼 향후 금리 방향은 어떻게 될까요?금리는 돈의 가격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최근 이자가 급등하자 사람들이 대출을 줄이고 예금을 늘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즉, 돈의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지금의 비정상적인 금리차는 최근 유례없는 미국의 초긴축 영향을 받아 급등했을 뿐이지만 돈 수요가 생각만큼 많지 않아 조만간 좁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신용대출 금리는 지금 6%대 수준에서 더 이상 오르기는 어려울 것 같고,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3% 안팎이 될 때까지 지금 수준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고, 미국도 금리가 일정 수준으로 올라가면 긴축 속도를 조절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2022년~2023년 상반기만 조금 힘들게 버티면 조금은 숨통이 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이상 앞장섰습니다.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부동산 및 주식데이터는 KB리브, 한국부동산원, 통계청,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청약홈,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한국주택금융공사, 아실, 지인, SEE:REAL, 토지정보시스템, 주택금융통계시스템, FREE, OECD, SEC, 야후파이낸스, 시킹알파, Stockrow 등 믿을 수 있는 곳에서 raw데이터를 추출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본 게시물은 개인의 생각이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지표로도 활용할 수 없습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금리 #기준금리 #금리인상 #신용대출금리 #금리인상언제까지 #고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