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디스크(HDD) 버드 섹터 삭제 방법 로우 레벨 포맷

하드디스크를 비롯한 저장장치는 평생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충격 또는 장시간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퇴화하게 됩니다. 물리적 충격에 의한 HDD(하드디스크)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이유는 배드 섹터가 생겨 PC 전반적인 성능이 떨어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한 번쯤은 도전해 볼 가치가 있는 것이 로우 레벨 포맷입니다.일반적인 고속 포맷 방식과 달리 로우 레벨 포맷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물리적 손상이 일어난 하드디스크의 경우 빠른 포맷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지만 로우 레벨 포맷을 통해 공장도 초기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배드 섹터 치료가 가능하고 조금 더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어 한 번쯤은 해볼 만합니다.

간단하게 현재 스토리지 디바이스인 HDD 또는 SDD의 상태는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메이션에서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사용시간도 미리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같은 경우 데이터 저장장치로 사용하던 WD3TB 하드디스크에 배드 섹터가 생겨 일부 파일 사용에 문제가 생겨 일단 초기화된 상태에서 로우 포맷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WD3TB 하드디스크는 SATA 방식으로 PC에 연결되어 있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로우 레벨 포맷 프로그램인 HDDGURU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하려고 했는데 SATA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현재 장치가 사용중이고 로우 포맷 오류가 났습니다.

결국 본체에서 분리해 외장 하드도킹에 접속한 뒤 USB로 인식하니 정상적으로 로우 포맷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배드 섹터의 경우 로우 포맷으로 없앨 수 있어 하드 디스크의 수명을 조금 더 연장시킬 수 있지만 윈도우의 일반 포맷과 빠른 포맷으로는 배드 섹터를 없앨 수 없어 반드시 로우 포맷을 진행해야 합니다.

아까 말씀드렸지만 로우 포맷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특히 하드디스크 용량에 따라 그 시간은 천차만별로 다릅니다. 오전 1:19분에 로우 포맷을 진행했습니다.

88%의 작업을 거쳐서…

100% 완료된 시간은 오후 9:19분에 로우 포맷 완료되었습니다.대략 AM1:19에 시작해서 PM9:19에 끝나서 무려 20시간이나 걸려서 로우 포맷이 완료되었습니다.

배드 섹터가 발생했을 때 이미지 캡쳐가 안 됐는데요. 회복 불가능한 섹터 수가 2개 정도 발생한 것이 로우 포맷을 진행한 후 건강 상태가 우수한 상태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인데 사용시간을 보면 무려 18329시간을 쓰고 너무 자주 읽고 쓰기를 반복하던 하드디스크여서 상태가 이상한 건 당연한 일일 수도 있겠네요.

C: 에서 사용중인 SSD의 경우 8917시간을 사용한 것을 보면 로우 포맷을 한 하드디스크의 사용시간이 얼마나 긴 시간을 사용했는지를 직접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배드 섹터의 경우 한번 발생하면 계속 발생합니다. 로우 포맷으로 잠시 정상 상태로 되돌렸다가 다시 사용하면서 다시 배드 섹터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니 충분히 고려해서 사용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