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X: 성장 모멘텀(클라우드 게임, 자율주행)

3분기 IDC 성장률이 생각보다 느리고 실적이 줄어드는 분기였다.

물론 YOY로의 증가는 여전하지만 기대감이 높은 만큼 기대가 깨졌을 때 차갑게 변해버리는 냉정한 시장이다.

오늘은 KINX의 성장을 견인해 줄 몇 가지 재료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클라우드 게임
  2. 클라우드 게임이 낯선 단어지만 이제는 당연히 받아들여질 것이다.

네이버에서 찾은 클라우드 게임의 정의다.게임을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는 고성능 컴퓨터 없이 빠른 인터넷과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기만 있으면 장소에 제한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나도 이 서비스를 ‘마이머니 게임’ 해봤어.

lg유플러스 고객이라 GFORCENOW라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유료로 가입해 사용해봤다.

이틀… 딱 이틀 썼어. 그리고 취소했어.이제 나도 신문물을 따라갈 수 없는지 인증부터 헤매기 시작해 몇시간(?)의 인증 절차를 거친 뒤 게임을 실행했더니… 오류가 나서 실행되지 않았다.이 시도를 10번 정도 거친 다음에… 포기했어.

내가 실행하려고 시도한 기기는 갤럭시탭s7+이다.삼성에서 출시한 최신 기종이라서요. 기기 성능의 문제가 아니라 (클라우드 게임의 특성상 성능의 문제로 게임이 되지 않는 것은 말도 안 된다.)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아직 호환되지 않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화면에 이름과 전화번호 등으로 인증 절차를 거쳐 가입하려 했지만 내 이름이 한글로 적혀 있지 않았다.아무리 키보드를 한글로 변환시켜도 계속 영어로 쓸 수 있다.

좀 당황했어.광고로 봤을 때는 굉장히 쉽게 접근 가능하고 댓글도 잘 달린다는 반응이 기대했는데 이렇게 시작조차 힘들다니… 경험한 내용을 블로그에 남기고 싶었는데 아쉽다.

나 같은 사람이 생각보다 많아… 각 설과 호환되는 문제나 앱 최적화 문제는 점차 개선될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이제 개인 가정에 고성능 그래픽 카드가 설치된 데스크톱 없이도 어디서나 게임이 가능한 시대가 곧 올 것이다.

그렇다면 클라우드 게임과 KINX의 접점은 무엇일까.바로 트레픽의 증가다.

https://m.kr.ajunews.com/view/20191204123500790 이동통신 3사가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강점인 초저지연성과 초연결성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게임 서비스를 잇따라 선보이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쿠라…m.kr.ajunews.com

발췌한 한상은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통신사들은 5G 특성을 활용한 클라우드 게임 구현으로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사업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클라우드 게임으로 이용자 수를 확대하고 MEC의 데이터 트래픽 처리 능력이나 트래픽 집중 문제를 사전 점검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 스트리밍 게임 시장도 독일 경제를 적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처럼 통신사의 부가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클라우드 게임 시장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클라우드 게임 시장이 지난해 2700억원 규모에서 2023년 1조7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마켓인사이트는 2025년 클라우드 게임 시장이 약 9조3000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기술적인 문제가 아직 남아 있지만 클라우드 게임 시대로 넘어가는 것은 기정사실이라고 봐도 무방하다.다음은 KINX에 관한 기사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614308 올해 영업이익 16% 증가 예상 클라우드 활성화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수요 급증에 따른 케이아이엔엑스(KINX) 매출 상승이 기대된다. 특히 2분기부터 구글 클라우드가 KINX의 IDC 서비스를 선택하면서 n.news.naver.com 발췌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IDC는 서버 등 전산 장비가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인프라 환경을 구축해 놓은 특수 공간으로 일명 ‘서버 호텔’로 불린다”며 “KINX는 국내 도곡센터를 중심으로 수도권 6곳에 IDC를 구축해 각 센터 간 네트워크 연결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아마존, 텐센트, IBM 등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킨엑스를 국내 전용 회선 서비스 제공자로 잇따라 선택했다.

클라우드 게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자율주행 등의 서비스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기사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클라우드 게임뿐만 아니라 최근 아이돌 가수의 콘서트를 VR, AR을 활용해 진행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111701032939179001′ 대중문화예술스태프 대상’ 문체부 장관상을 수상한 주봉길 대표, 국내 몇 안 되는 테크니컬 디렉터 정인권, 김광석 콘.. www.munhwa.com 트래픽이 증가하는 요소는 넘쳐난다.

2) 자율주행

중장기 IT의 자동차 시장 침투는 연결성 사회 내에서 데이터 트래픽 폭등과 부가가치 제고를 일으켜 산업 지형도를 바꿀 전망이다.

사람들이 보유한 디바이스의 사용시간이 증가했을 뿐인데 서버 업체에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 쓰나미가 밀려오는 형국이다.

따라서 만약 휴대폰과 컴퓨터가 아닌 새로운 디바이스가 휴대폰과 컴퓨터만큼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저장하고 공유한다면 특히 자율주행의 경우 이전에 주행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가 발전하기 때문에 주행 중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는 저장, 분석, 공유되어야 하기 때문에 트래픽 급증은 명확해 보인다.https://www.etnews.com/20201120000089 제너럴모터스(GM)가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와 자율주행자 개발에 270억달러(약 30조699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의 보도에 따르면 GM은 지난 3월 전기차와 자율주행…www.etnews.com <기품주>

  • 개인적인 의견이 심하게 내포된 글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믿어서는 안 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