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letterbomb 준비 및 하드로더 작업 Part 4. 마무리 세팅 Part 3. letterbomb 준비 및 하드로더 작업 1. SD카드 포맷 (FAT32형식)

2. 아래 링크(구글 드라이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자. 압축을 풀고 통째로 복사해서 SD카드에 붙이자.
복사해서 SD카드에 넣어주세요.zip Sign Indrive.google.com

3. letterbomb 홈페이지 접속 LetterBomb (hackmii.com)

4. 미리 준비해둔 본체 MAC 주소를 넣자.(4.3k 체크) → 로봇이 아닙니다 체크 → Cutthered wire 혹은 Cut the bluewire 버튼을 누르면 파일 다운로드 시작! (위치는 내 pc의 ‘다운로드’ 폴더)

5. 다운로드된 Letterbomb 압축 파일을 해제하고 폴더를 열어보자.
6. private 폴더만 복사
7.sd 카드를 열자→기존 private 폴더는 삭제하고 바로 복사한 private 폴더를 붙여넣자.
8.sd 카드 넣자.
9. 우측 하단의 알림판(편지그림) 클릭
10. 왼쪽과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날짜를 바꿔보자.
11.letterbomb 발견! 클릭!!
letterbomb 성공 시 거의 반응이 있다.리모컨의 (+), (-)버튼 또는 화면의 좌우 화살표를 눌러 날짜를 바꿔보자. 성공하면 바로 letterbomb가 바로 나타난다. 하지만 실패하면 아무리 눌러도 응답이 없다…
letterbomb가 오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상처주지 말자. 흔한 일이다.
조금 기다렸다가 1버튼 누르고 진행! 12. 맨 아래 Continue를 A버튼으로 누르자! (이제는 홈브루 채널과 부트미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예정이다. 순서는 홈브루 먼저!
13. Install The Homebrew Channel을 A버튼으로 누르자!
14. Yes, continue 누르자.
15. 홈브루 채널(Homebrew) 설치 완료! continue 누르자.
16. 이번엔 부트미를 설치하자.
17. InstallBootMiasIOS를 눌러 부트미를 설치하자.
18. Yes, contintue 누르자.
19. Install Boot Mi / IOSnow 누르자.
20. Return to the main menu 누르자.
21. Exit을 누르고 빠져나가자.
17. 이렇게 파란색 홈브루 메인 화면이 나오면 절반은 성공! (앱 구성은 조금 다를 수 있다.)
18. 리모콘 홈버튼을 누르자.
19. LaunchBootMII 누르고 부트미로 들어가자.
20. 부트미 화면이다.
21.★중요★ 부트미에 진입하면 리모컨 작동이 안 된다. 그래서 본체에 있는 ‘POWER 버튼’과 ‘RESET 버튼’을 이용한다.왼쪽에 있는 파워버튼(POWER)은 커서 이동을 담당(한 번 누를 때마다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오른쪽 리셋버튼은 확인(OK)을 담당.OK)」을 담당.
22. POWER 버튼을 3회 누르고 설정(기어)으로 이동하여 RESET 버튼을 누르자.
23. 첫 번째 아이콘을 RESET 버튼으로 누르자.
24. 자동으로 낸드백업 개시. (본체 고유의 시스템 이미지를 SD카드에 복사하는 작업으로 본체 고장시 복구에 도움이 된다. 백업된 이미지는 SD카드에 저장된다.)
25.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10분 정도 가만히 기다리면 된다. 심심하면 스마트폰을!
디스크 정리/조각 모음/치료 등의 기능도 있는 것 같습니다.(추측)26. 낸드 백업 완료! power 버튼을 눌러 부트미 화면에서 벗어나자.
27. power 버튼을 똑딱똑딱 3번 누르고 4번째 화살표(나옴) 아이콘으로 이동하고 reset 버튼을 눌러 부트미 메인으로 나가자.
28. 두 번째 homebrew 아이콘을 눌러 홈브루의 메인 화면으로 나가자.
29. IOS236 Installer v5 MOD를 눌러 설치하자.
30. MULTIMOD MANAGER 누르자.
★여기서 잠깐★ MULTIMODMANAGER(이하 줄여서 MMM)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리모컨의 라이트가 꺼지고 다시 리모컨을 켜도 신호는 잡히지 않고 버튼도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당황하지 말고 하나하나 해결책을 찾아보자~ 문제는 리모콘! wii 리모콘은 모션 기능이 없는 일반 리모콘과 모션 기능이 내장된 모션플러스 리모콘이 있는데 일반 리모콘은 MMM에서 작동이 문제없지만 모션 리모콘은 제조 시리얼에 따라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그럴 때는 MMM과 비슷한 ‘WiiMOD’라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면 된다.우리는 리모컨 작동에 문제가 없다는 조건으로 MMM을 계속 진행하자!
일반 리모컨과 모션 플러스 리모컨(모션 플러스 내장 표시 이외에는 생긴 것은 동일)
31.MM진입후 WADMAN AGER누르자.(A버튼)
32. 리모콘 1버튼 누르고 전선택후 A버튼 누르고 설치시작! 유튜브 보면서 조금만 기다리면 돼^^)
WAD 파일 설치가 끝나면 아무 버튼이나 눌러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자.
21개의 WAD 파일 설치 완료! 33. Priiloader(프릴로더)를 설치하자! 프리로더는 wii 상세설정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마음껏 누르자! 리모콘의 + 버튼이나 A 버튼을 눌러 설치 시작!
34. 프리로더 설치가 끝나면 프리로더에 진입해보자.★중요★진입방법은 ‘홈브루 메인 화면’이나 ‘Wii 메인 화면’에서 본체의 reset 버튼을 3초 정도 꾹 눌러두자.
짜잔~ 프리로더 진입 화면이다! 리모콘 십자키와 A버튼을 이용하여 System Menu Hacks를 누르자
35. 사진에서처럼 8항목만 A버튼을 누르고 ‘enabled’로 바꾸자! 그리고 하단의 savesettings 버튼을 눌러 저장하자! 그리고 리모콘 홈버튼이나 B버튼을 사용하여 wii 메인화면으로 나가자.
36. 메인 화면에는 필수 채널인 CD 채널과 하드로더 채널, 홈브루 채널, 그리고 여러 채널이 있는데 필요없는 사진 채널이나 쇼핑 채널은 A버튼, B버튼을 동시에 눌러 채널이동을 하여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켜도 되고 전용 프로그램(anytitle delettermod)을 사용하여 깨끗이 삭제해도 된다.
이제 CD채널과 홈브루채널은 쓸일이 별로 없으니 이사시키자!이것에 의해, wii 본체 하드로더의 기본 작업이 종료된다.여기까지 작업해 외장하드나 usb 혹은 sd카드에 게임파일만 넣으면 게임이 구동된다.(물론 CD도 정상 작동한다. 기존의 wi 본체에 ‘하드 로더 시스템’이 추가되었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wii 게임 파일 크기는 작게는 수백 mb에서 몇 gb까지 다양하지만 sd카드나 usb는 용량이 작으면 게임을 몇 개밖에 넣을 수 없다.그러니 적당한 크기의 대용량 외장하드(250gb500gb)를 이용해 필요한 만큼 게임 파일을 채우고 게임을 즐기자!Wii 게임 파일의 입수 방법은? 1. Google 검색이나 토렌트 이용.요즘은 p2p나 트렌트시드가 얼마나 잘 유지되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한글로 출시된 85여개 게임 파일을 한꺼번에 정리한 170gb 정도의 대용량 파일도 서버에 있었는데 글쎄 요즘은 잘 모르겠다. 유료 웹하드가 보편화된 요즘은 트렌트를 이용하는 사람이 워낙 적기 때문이다.만약 구글이나 트렌트를 이용한다면 바이러스를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인스톨 파일이 들어있는 링크는 무조건 대상에서 제외하자!!) 필자도 이전에 구글링중에 랜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귀중한 자료를 속수무책한 적이 있다.지금 생각해도 여전히 마음이 너무 아파.
2. 게임숍이나 중고마켓에서 게임 파일이 들어있는 외장하드만 구입한다.구글이나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할 경우 오히려 이것이 시간/노력에 비해 효율적이다.심야에 모니터 앞에 앉아 게임 파일을 찾아 며칠을 망친 인터넷 바다를 헤매는 것은 결코 쉽지도, 유쾌한 일도 아니다.파일을 하나씩 내려받아 외장하드에 넣어 작동하는지 일일이 테스트하고 게임 커버 그림 다운로드 작업은 처음에는 재미있다. 과연 작동할지 설레기도 하고… (그래, 처음만 재밌어!) 외장하드 가격은 용량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외장하드 용량은 무조건 크다고 해서 꼭 좋은 건 아니다. 국내 한글로 출시된 게임 85개도 제목을 보면 알겠지만 모두 재미있는 것은 아니다.닌텐도 Wii 한글로 출시된 85개의 게임, 무슨 일이 있었는지 보자♥닌텐도 Wii 전 세계…blog.naver.com 타이거우즈 골프 시리즈는 3개나 있지만 골프를 전혀 모르는 필자는 아직 한 번도 뛴 적이 없다.작은 친구들이 하는 아기자기한 캐주얼 게임도 사실 손이 가지 않는다.이처럼 아이들이 좋아하는 게임, 어른들이 좋아하는 게임 장르가 확연히 다르고 한글 출시 게임 중에서도 재미있는 것만 골라낸다면 남은 공간을 채우는 게임은 모두 외국어로 진행되는 게임이다. 게임이 200,300개 있어도 별 의미가 없다는 뜻이다. 물론 게임이 수없이 많다고 해서 나쁠 건 없다. 하지만 해보면 알겠지만 나중에 인식이 잘 안되고 오류가 나는 게임과 아예 안 하게 되는 게임을 종이에 하나하나 적어놓고 PC로 삭제하는 과정도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그래서 외장하드를 사용한다면 320g 정도면 정당하지 않을까 싶다.320g이면 일부는 와이 운영체제에 배정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160~180개 정도의 크고 작은 게임을 골고루 담을 수 있는 용량이다.이는 다양한 용량의 외장하드를 사용해 본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으로 오히려 훨씬 작은 USB나 SD카드에 꼭 필요한 몇몇 게임만 넣어 즐기는 심플한 유저도 있는가 하면, 2TB 대용량 외장하드에 촘촘히 게임을 채워놓고 원하는 대로 즐기는 마니아 유저도 얼마든지 있다.
하드로더 기본 작업을 마친 wii의 벽지는 다소 서늘하다… 아이들이 자주 하는 게임 숏컷 채널이나 보글보글, 원더보이 같은 고전 미니게임을 여러 개 설치해도 좋고, 오락실 마메(mame) 혹은 고전 에뮬(슈퍼패미컴, 슈퍼게임보이, 패밀리 등)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적당한 운영 프로그램을 설치해도 좋다.그건 조만간 관련 포스팅에서 하나하나 같이 다뤄보자.
데스크톱에 자주 찾는 게임 바로가기 채널과 보글보글 같은 미니게임을 설치해도 된다.
이것저것 쑤셔넣으면
왠지 풍족해 보여서 좋네.